© Hanns-Seidel-Stiftung
한스 자이델 재단 한국 사무소는 1987년부터 한반도의 화해와 관련한 주제로 활동해 오고 있다.Overview...
Overview...
Enter your Email address and we will send you a secure personal link
Our data protection information provides you with information on how we handle your data.
HSF 한국 사무소는 지난 25일에서 26일까지 남고성을 방문해 지역 환경 보전 프로젝트의 진행 현황을 확인했다.
지난 2002년 독일 통일 30주년을 기념하여, 손기웅 박사와 강동완교수의 독일 통일 순례여정을 담은 ‘동서독 접경 1,393km 그뤼네스 반트를 종주하다’ 가 발간되었다. 한스 자이델 재단 젤리거 박사도 독일에서 여러 사례 이 여정에 동참하며 독일 통일의 30주년을 되돌아보았다.
지난 6일 고려대학교의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OJERI)은 북한의 홍수 예측 및 DRR시스템 평가를 주제로 하는 하이브리드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스 자이델 재단 (HSF) 한국 사무소가 부활절 인사를 전합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한 부활절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해준 파트너들과 동료들 모두 감사합니다.
3월 31일 고양 연구원은 제22 고양시정포럼을 개최했다. 본 포럼은 킨텍스에서 열렸고, 주제는 경기 북서부 지역에서의 협력 가능성이었다.
3월 한달간 한스 자이델 재단 한국 사무소에서 있었던 일들을 담았습니다.
HSF 한국 사무소는 지난달 지속 가능한 산림 개발 및 수산 양식 사업에 대한 추후 프로젝트 논의를 위해서 각종 기관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19일, 한국유렵 학회와 한스 자이델 재단이 한반도-유렵연합 파트너십에 대한 워크숍을 공동 주최했다.
3월 18일 중앙대학교 GSIS 리더스 포럼이랑 접경인문학 연구단은 글로벌 국경 연구 전공 개설 특별 세미나를 개최했다. 본 세미나는 중앙대학교 301빌딩 아트 센터 다빈치 클래스룸 703에서 진행이 됐고 참가자들은 유튜브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세미나를 시청할 수 있었다.
일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전염병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이유로, 한스 자이델 재단 (HSF)은 대유행 상황의 국제협력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HSF한국사무소의 젤리거 박사는 한반도의 현 상황에 대해서 기고글을 작성했다.
지난 4일 한스 자이델 재단 대표단은 고성시의 접경 지역을 방문하여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미래 협력을 논했다.
3월 10일, 한스 자이델 재단 한국 사무소의 베른하르트 젤리거 박사와 김영수가 이상민 국회의원(대전·민주당)과 정기영 외교통상부 사무총장과 실무회담을 가졌다. 이상민은 국회 한독우호단체 회장 겸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이다. 정기영은 기후변화, 에너지, 환경, 과학기후국장을 맡고 있다. 이들은 회담에서 북한의 지속 가능한 개발의 과제 및 더 나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세계 야생동물의 날인 오늘, 베른하르트 젤리거 박사는 남북의 삼림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삼림은 다양한 생물종들의 서식지이자 생물 다양화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3월 2일은 북한의 식목일이다. 이 전통은 김일성으로부터 시작이 되었고, 북한은 이런 활동들을 통해 산림이 파괴된 지역을 복구시키고 유익한 삼림계획을 설립하기를 원한다.
야생에는 약 12,000마리의 두루미만이 남아있으며, 생태전문가들은 그들을 취약종으로 분류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서식지가 잘 보호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서식지는 일본의 남쪽 지역이나 한국의 순천만에서 북한의 휴식처를 거쳐 러시아나 몽골의 번식지까지 분포한다.
북한은 오랫동안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로 여겨져 왔고 코로나 19로 인해 이러한 고립문제는 더욱 심화되어 가고 있다.
한스 자이델 재단은 지난달 25일, 유럽연합과 북한의 관계에 관한 온라인 웹 세미나를 개최했다. 재단의 소장인 베른하르트 젤리거 박사는 연사로 나서 EU가 북한과 더욱 협력해야 되는 이유에 대해서 말했다.
한스 자이델 재단 (HSF) 한국 사무소는 남북관계 진전,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평화로운 통일 등을 추진하는 국제기구로써 지난 10년간 관련 분야에 열정적인 인턴들을 모집했다. 2월을 마지막으로 새로운 길로 나아가는 인턴 정혜수 양과 파사나 샤피 양이 그들의 인턴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지난 몇 주 동안 HSF한국 회원들은 평화문제연구소 (IPA) 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SI) 의 대표자들과 평양과학기술대학교 (PUST) 의 총장을 만났다. 두 대화는 모두 유익하고 풍요로웠으며 북한과 환경보전 우려의 관한 협력의 다양한 측면을 제시했다.
2021년 2월 19일 ‘대한민국 녹색 ODA 현황과 전망에 관한 콘퍼런스’가 열렸다. 본 콘퍼런스는 녹색 ODA의 글로벌 추세에 대한 연설과 발표로 구성된 여러 세션을 포함했다.